호주에서 생활하는 한인들은 다양한 이유로 어려움을 겪을 수 있습니다. 가족 문제, 경제적 어려움, 정신 건강 문제, 가정 폭력 등 누구에게도 말하기 어려운 고민을 혼자 안고 있다면 **호주 한인 생명의 전화(Korean Lifeline)**를 기억하세요.
호주 한인 생명의 전화, Ko-Lifeline은 훈련받은 전문 상담원들이 자원봉사를 하심으로써 한인들의 어려움을 듣고 공감하며 그 해결책을 위해 24시간 불철주야로 전화를 받고 있습니다. 개인 사생활 보호를 철칙으로 하고 있기 때문에 개인 정보 노출에 대한 우려를 하지 마시고 전화하시면 됩니다.
호주 한인 생명의 전화란?
호주 한인 생명의 전화(Korean Lifeline)는 한국어로 위기 상담을 받을 수 있는 서비스입니다. 익명이 보장되며, 정서적 지원과 위기 상황에서 즉각적인 도움을 제공합니다.
제공 서비스
- 위기 상담: 긴급한 상황에서 정서적 지원 제공
- 전문 상담 연결: 필요시심리 상담사와 연결
- 가족 및 정신 건강 프로그램:
상담 가능한 문제
- 가정 폭력: 신체적, 정서적, 경제적, 언어적 학대 상담
- 정신 건강: 우울증, 불안장애, 스트레스 관리, 트라우마 상담
- 약물중독: 약물 및 알코올 중독 관련 지원
- 가족 관계: 부부 갈등, 부모-자녀 관계, 세대 차이 상담
- 도박 문제: 도박 중독으로 인한 문제 해결 지원
- 생활고: 경제적 어려움, 실직, 주거 문제 상담
- 장애 지원: 장애인 및 가족을 위한 상담 및 서비스 안내
- 이 외에도 이민자로서 느끼는 힘겨움, 고향에 대한 향수, 직장생활 등 다양한 심리적 고통 및 어려움 상담
연락 방법
- 전화: 02 9858 5900 (24시간 운영)
- 이메일: koreanlifeline@accu.edu.au
- 웹사이트: www.koreanlifeline.org
호주 전역에서 자원봉사하시는 전문 상담가 분들은 정기적으로 Supervision과 training으로 상담의 질과 내용을 향상하려고 노력하고 있습니다. 내가 힘이 들 때 혼자라는 생각에 때로는 위험한 생각까지도 다다르게 되는데, 여러분의 전화를 들고 한인생명의 전화로 다이얼을 눌러보세요. 나의 고통을 누군가와 나누고 내가 말로 표현을 함으로써 그 고통을 줄이고 한줄기의 빛을 볼 수 있는 기회가 될 것입니다.
한인을 위한 추가 정신서비스
Transcultural Mental Health Line (다문화 정신 건강 지원 서비스)
- 한국어 지원 가능
- 운영 시간: 월금 오전 9시오후 4시 30분
- 전화: 1800 648 911
- 웹사이트: dhi.health.nsw.gov.au
Lifeline Australia (무료 통역 서비스 제공)
- 통역 요청 방법: 131 450번으로 전화 → 한국어 요청 → Lifeline 13 11 14번 연결
- 웹사이트: llaweb-prod-admin.azurewebsites.net
혼자가 아닙니다. 도움을 요청하세요.
누구나 인생에서 어려움을 겪을 수 있습니다. 그러나 그 어려움을 혼자 감당할 필요는 없습니다. 호주 한인 생명의 전화(Korean Lifeline)를 통해 전문가의 상담과 정서적 지원을 받아보세요. 여러분의 고민을 나누고, 다시 희망을 찾을 수 있도록 도움을 받으시길 바랍니다.
[함께 보면 좋은 글!]
브리즈번 한인을 위한 비영리기관- Brisbane Korean Community Association
브리즈번에 한인들을 위한 비영리 기관이 있다고요? 퀸즐랜드 주 한인회 (The Korean Society of Queensland) 말씀하시는 건가요? 아닙니다. 퀸즐랜드 주 한인회는 한인 커뮤니티 활성화와 한국 문화의 보
2.eyecatchinginfo.com
호주에서 사회복지사 (Social worker) 로 일하기
지난 글에서는 Social worker가 되는 과정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AASW (Australian Association of Social Workers)의 공인된 대학과정을 이수하고 나면 Case work (사례별..) counselling (상담), advocacy (지지/옹호), com
2.eyecatchinginfo.com
호주에서 사회복지사 (Social worker)가 되기까지의 여정
호주에서 소셜워커( 사회복지사)로 일한 지 어언 13년.. 이번 글에서는 소셜워커가 되기까지의 개인적인 준비과정에 초점을 맞추었고 다음 글에서는 소셜워커의 처우, 분야 등 직업 정보 위주로
2.eyecatchinginfo.com
댓글